오늘은 데이터 구조 활용에 대해 이야기해볼게.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방법이야. 배열과 리스트를 활용해 보면서 이 개념을 이해해보자.
5. 데이터 구조 활용
1. 배열과 리스트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및 처리
배열은 같은 데이터 타입의 요소를 고정된 크기로 저장하는 반면, 리스트는 동적으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어. 각각의 특징을 활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어.
C 언어 예제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numbers[5] = {10, 20, 30, 40, 50}; // 배열 선언 및 초기화
int sum = 0;
for (int i = 0; i < 5; i++) {
sum += numbers[i]; // 배열 요소의 합계 계산
}
printf("배열 요소의 합: %d\n", sum);
return 0;
}
Java 예제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[] numbers = {10, 20, 30, 40, 50}; // 배열 선언 및 초기화
int sum = 0;
for (int number : numbers) {
sum += number; // 배열 요소의 합계 계산
}
System.out.println("배열 요소의 합: " + sum);
}
}
Python 예제
numbers = [10, 20, 30, 40, 50] # 리스트 선언 및 초기화
sum_numbers = sum(numbers) # 리스트 요소의 합계 계산
print("리스트 요소의 합:", sum_numbers)
2. 예시 문제를 통해 구조 이해하기
이제 각 언어에서 배열이나 리스트를 사용해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. 예를 들어, 학생들의 점수를 저장하고 평균 점수를 계산해보는 거야.
▶ C, Java, Python에서 각각의 언어 특성에 맞게 구현해보았어.
▶ 배열 또는 리스트의 요소를 반복하며 처리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해.
이렇게 데이터 구조를 활용하면 여러 가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. 앞으로도 이런 개념을 잘 이해하고 활용해보면 좋겠어.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물어봐!
사랑해!️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아에게: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c, java, python (1) | 2025.03.01 |
---|---|
수아에게: 입출력문 c, java, python (0) | 2025.03.01 |
수아에게: 언어의 꽃 조건문 반복복 (0) | 2025.02.25 |
수아에게: 연산자의 이해 (1) | 2025.02.22 |
수아에게 : 각 언어의 자료형 (1) | 2025.0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