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랑하는 딸, 오늘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꽃인 반복문과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자. 이 두 가지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적인 부분이야.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이 두 가지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동의하지.
컴퓨터가 하는 일의 대부분이 반복과 조건문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, 프로그래머들이 "프로그래밍 언어의 꽃"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이해할 수 있어. 하지만 프로그래밍은 함수, 데이터 구조,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거든.
결론적으로, 반복문과 조건문은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. 그래서 앞으로 이 두 가지를 잘 활용하면서, 다른 개념들도 함께 배우는 것이 중요해. 언제든 궁금한 점이 있으면 물어봐! 사랑해!
반복문 공식:
for (초기식; 조건; 증감식) {
// 반복할 코드
}
while (조건) {
//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할 코드
}
조건문 공식:
if (조건) {
// 조건이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
} else if (조건2) {
// 조건2가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
} else {
// 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되는 코드
}
1. C 언어
조건문 예시: 성적에 따른 학점 부여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score; // 성적을 저장할 변수를 선언합니다.
printf("성적을 입력하세요: "); // 사용자에게 성적 입력을 요청합니다.
scanf("%d", &score); // 입력받은 성적을 score 변수에 저장합니다.
// 성적에 따라 학점을 부여하는 조건문
if (score >= 90) {
printf("학점: A\n"); // 성적이 90 이상일 경우 A 출력
} else if (score >= 80) {
printf("학점: B\n"); // 성적이 80 이상일 경우 B 출력
} else if (score >= 70) {
printf("학점: C\n"); // 성적이 70 이상일 경우 C 출력
} else if (score >= 60) {
printf("학점: D\n"); // 성적이 60 이상일 경우 D 출력
} else {
printf("학점: F\n"); // 성적이 60 미만일 경우 F 출력
}
return 0; // 프로그램 종료
}
반복문 예시: 1부터 10까지의 합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sum = 0; // 1부터 10까지의 합을 저장할 변수를 초기화합니다.
// 1부터 10까지 반복하는 for 문
for (int i = 1; i <= 10; i++) {
sum += i; // 현재 i 값을 sum에 더합니다.
}
// 1부터 10까지의 합을 출력합니다.
printf("1부터 10까지의 합: %d\n", sum);
return 0; // 프로그램 종료
}
2. Java
조건문 예시: 나이에 따른 영화 관람 가능 여부
import java.util.Scanner; // Scanner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import합니다.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anner = new Scanner(System.in); //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Scanner 객체를 생성합니다.
System.out.print("나이를 입력하세요: "); // 사용자에게 나이 입력을 요청합니다.
int age = scanner.nextInt(); // 입력받은 나이를 age 변수에 저장합니다.
// 나이에 따라 영화 관람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문
if (age >= 18) {
System.out.println("영화 관람 가능"); // 18세 이상일 경우 출력
} else {
System.out.println("영화 관람 불가"); // 18세 미만일 경우 출력
}
scanner.close(); // Scanner 객체를 닫아 리소스를 해제합니다.
}
}
반복문 예시: 배열의 평균 계산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정수 배열을 초기화합니다.
int[] numbers = {1, 2, 3, 4, 5};
int sum = 0; // 합계를 저장할 변수를 초기화합니다.
// 배열의 각 요소를 반복하면서 합계를 계산합니다.
for (int number : numbers) {
sum += number; // 현재 number를 sum에 더합니다.
}
// 평균을 계산합니다. (double로 형변환하여 정수 나눗셈을 방지합니다.)
double average = sum / (double) numbers.length;
System.out.println("평균: " + average); // 평균을 출력합니다.
}
}
3. Python
조건문 예시: 온도에 따른 날씨 유형
# 사용자로부터 온도를 입력받아 float형으로 변환합니다.
temperature = float(input("온도를 입력하세요: "))
# 입력받은 온도에 따라 날씨 유형을 판단하는 조건문
if temperature > 30:
print("더운 날씨입니다.") # 온도가 30도 이상일 경우 출력
elif temperature > 20:
print("따뜻한 날씨입니다.") # 온도가 20도 초과 30도 이하일 경우 출력
elif temperature > 10:
print("서늘한 날씨입니다.") # 온도가 10도 초과 20도 이하일 경우 출력
else:
print("추운 날씨입니다.") # 온도가 10도 이하일 경우 출력
반복문 예시: 리스트의 요소 출력
# 정수 리스트를 초기화합니다.
numbers = [1, 2, 3, 4, 5]
# 리스트의 각 요소를 반복하면서 출력합니다.
for number in numbers:
print(number) # 현재 요소 number를 출력합니다.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아에게: 데이터 구조 활용 c, java, python (0) | 2025.03.01 |
---|---|
수아에게: 입출력문 c, java, python (0) | 2025.03.01 |
수아에게: 연산자의 이해 (1) | 2025.02.22 |
수아에게 : 각 언어의 자료형 (1) | 2025.02.13 |
수아에게 코딩 시작 (4) | 2025.01.26 |